전통한복종류

아름답고 다양한 우리 고유의 전통 의복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전통한복종류 중 혼례복

혼례복

혼례복은 전통 혼례 때 사용했던 예복입니다.

신부는 다홍치마, 연두색 회장 저고리에 원삼이나 활옷을 입고 큰 머리를 얹고 용잠을 꽂으며 화관이나 족두리를 쓰고 한삼을 길게 늘여 손을 가린다.

신랑은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 옥색 두루마기, 관복, 각대, 사모를 쓰고 목화를 신으며 포선을 손에 든다.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선시대'(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조선시대의 남성복 전시(00128659)','조선시대의 남성복 전시(00128658)'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선시대'(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조선시대의 남성복 전시(00128659)','조선시대의 남성복 전시(00128658)'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통한복종류 중 구분복

구분복

조선시대에 무관에 해당되는 관직을 가진 벼슬아치나 지방의 수령이 입는 한복. 오늘날의 장교 정복에 해당되는 복장으로 등급에 따라 노란 색에 소매만 붉은색의 두루마기에 검은색의 조끼를 걸친 것과 파란색에 소매만 붉은색의 두루마기에 검은 색의 조끼를 걸친 종류 등이 있다.

오늘날의 구분복은 각종 행사 때에만 입는다.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선시대'(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조선시대의 남성복 전시(00128658)'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선시대'(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조선시대의 남성복 전시(00128658)'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통한복종류 중 곤룡포

곤룡포

조선 시대의 임금이 시무복으로 입던 옷으로 곤복 또는 용포라고도 한다. 두루마기와 같은 모양의 웃옷이다. 당시 상국(上國)이었던 중국은 황룡포로 불렸으며, 제후국이었던 조선은 곤룡포로 불렸다.

재질은 겨울에는 붉은색 비단으로, 여름에는 얇은 비단인 사(紗)로 만들었으며 붉은색은 강한 생명력을 뜻하는 의미였다.

오늘날에는 결혼식이나 각종 행사 때에만 입는다.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곤룡포'(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곤룡포(00149673)'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곤룡포'(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곤룡포(00149673)'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통한복종류 중 관복

관복

조선시대의 문무백관들이 입던 옷으로 조선 시대 공복중의 하나이다.

무관의 경우 가슴에 호랑이를, 문관의 경우 가슴에 학을 그려 놓았으며 당상관은 두 마리, 당하관은 한 마리만 그려 놓았다.

이렇게 관직에 따라 다른 무늬를 흉배라고 한다. 관복에서 역사적 그리고 시각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흉배인데, 조선의 흉배는 명나라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관복'(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관복(00123920)'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관복'(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관복(00123920)'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통한복종류 중 상례복입은 여자
전통한복종류 중 상례복입은 남자

상례복

상례는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의례를 말하며, 장사 지낼 때 입는 복식을 상례복이라 한다.

상례복에는 상이 났을 때 죽은 사람이 입는 옷인 수의와 “살아 있는 사람”이 “죽은 사람”을 위하여 입는 옷인 상복이 있다.

본 저작물은 e뮤지엄에서 ①번은 '여자상복'(으)로 검색하였고, ②번은 '상복'(으)로 검색하여 해당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http://www.jeju.go.kr/museum/index.htm)에서 ①번은 '여자상복'으로 검색하여 '여자상복(005338)'을 사용하였으며, ②번은 '상복'(으)로 검색하여 '상복(005311)'을 사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제 4유형으로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이나, 본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에 문의하여 사용목적(자료 설명)으로 저작물 사용 허락을 받았으며 이 외에 사용이 불가합니다.
본 저작물은 e뮤지엄에서 ①번은 '여자상복'(으)로 검색하였고, ②번은 '상복'(으)로 검색하여 해당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http://www.jeju.go.kr/museum/index.htm)에서 ①번은 '여자상복'으로 검색하여 '여자상복(005338)'을 사용하였으며, ②번은 '상복'(으)로 검색하여 '상복(005311)'을 사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제 4유형으로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이나, 본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에 문의하여 사용목적(자료 설명)으로 저작물 사용 허락을 받았으며 이 외에 사용이 불가합니다.
전통한복종류 중 제례복

제례복

제례는 조상 숭배의 의례로서 제사라고도 한다. 제사는 죽은 조상을 받드는 예절로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제례 복식을 갖추어 입었는데, 제사의 내용이나 입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서 복식이 다르다.

제례 복식의 제도는 조선시대까지는 잘 준수되었으나 신분제도가 무너지면서 많은 변화를 보였다.

유가에서는 심의를 제례복으로 입었다. 심의는 그 연원을 중국의 춘추시대에 두는 동양 전래의 예복이다. 민가에서는 제례복으로 도포와 함께 유건,행전,세조대 등을 착용하였다. 이러한 예복은 제사를 지낼 때 입는 복식으로 지역이나 집안의 형편에 따라 차이가 있다.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심의'(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심의(00149547)'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심의'(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심의(00149547)'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평상복

전통한복종류 중 평상복 여자

여자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선시대'(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조선시대의 남성복 전시(00128659)'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통한복종류 중 평상복 남자

남자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선시대'(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조선시대의 남성복 전시(00128658)'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평상복

전통한복종류 중 어린이 평상복 여자

여자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선시대'(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조선시대 평상복 전시(00128660)'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통한복종류 중 어린이 평상복 남자

남자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조선시대'(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조선시대 평상복 전시(00128660)'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돌복

전통한복종류 중 어린이 돌복 여자

여자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돌복 전시'(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돌복 전시(00060737)'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통한복종류 중 어린이 돌복 남자

남자

본 저작물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돌복 전시'(으)로 검색하여 제 1유형으로 '돌복 전시(00060738)'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